“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가진(可珍) - 권곤(權琨)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아들.
1427~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가진(可珍)@민선 - 민선(閔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연구(聯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가진(可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가창묘우(可倉廟宇) - 작산사(鵲山祠)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사당. 진성이씨(眞城李氏)의 선조를 모신 곳으로, 이자수(李子脩)ㆍ이운후(李云候)ㆍ이정(李禎)ㆍ이계양(李繼陽) 등을 배향함.
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가창산(可倉山) - 작산(鵲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북쪽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가창재사(可倉齋舍) - 작암(鵲庵)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재암(齋庵).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추증받은 이정(李禎)의 묘제(墓祭)를 위하여 마련함.
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가초(嘉初)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가칙(可則)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타(賈他)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타(賈佗)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태부(賈太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평(嘉平) - 가평(加平)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한강을 이용한 수로(水路)가 발달하였으며, 조종암(朝宗岩)ㆍ대보단(大報壇)ㆍ현등사(懸燈寺) 등이 유명함.
경기도>가평 , 지명>행정지명
-
가평군(嘉平君) - 이형손(李亨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어 가평군(嘉平君)에 봉해짐.
1418~149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평부정(加平副正) - 이징(李澄)@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가항(可恒) - 박가항(朴可恒)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가해현(加害縣) - 가은(嘉恩)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이름. 소백산맥의 회유치(回踰峙)를 넘어 보은(報恩)과 이어지는 산간도로가 발달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가행(可行)@정충신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행(可行)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가행(可行)@조달생 - 조달생(趙達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조유(趙瑜)의 아들로,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하고, 영흥 판관(永興判官)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문신
-
가행(可行)@양희지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