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간보(簡甫) - 김곤(金坤)
고려 후기의 문인.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박동우(朴東雨)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간보(艮甫) - 박겸산(朴兼山)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에 그의 시축(詩軸)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간보(艮輔)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석대(磵石臺) - 석간대(石磵臺)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낙동강 가에 있는 언덕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 이정(李楨)과 작별하면서 읊은 당시(唐詩)가 바위에 새겨져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간성령(杆城令)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간성수(杆城守)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간성왕(杆城王)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간송(澗松)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간송당(澗松堂)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간송선생문집(澗松先生文集) - 간송집(澗松集)
조선 후기 학자인 조임도(趙任道)가 저술한 시문집. 7권 4책.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이 실려 있음.
17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간숙(簡肅)@황중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숙(簡肅)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庵)@유몽인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암(艮庵)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菴)@이희조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菴)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간양자(看羊子)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간여(簡輿) - 온조(溫造)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온길(溫佶)의 아들로, 흥원군(興元軍)을 평정한 공로로 산남서도 절도사(山南西道節度使)가 되었으며,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766~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열후(簡烈侯)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옥(干玉) - 육유(陸瑜)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후주(後主)의 압객(狎客). 동궁 학사(東宮學士) 등을 지냈으며, 형 육염(陸琰)과 함께 재능과 학문을 갖춰 당시 ‘이응(二應)’으로 불림.
541~5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