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간재(艮齋)@최연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간재선생문집(艮齋先生文集) - 간재집(艮齋集)
조선 후기 문인 이덕홍(李德弘)의 문집. 원집 8권 속집 5권 총7책으로 구성. 상소(上疏) 2편에서 임진왜란을 당해 전술상의 대책과 거북선의 적극적 이용을 이야기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대처방식을 보여주고 있음.
175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간적(簡寂)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간정소선(看鼎少仙) - 김양정(金養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간중(幹仲)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성세정 - 성세정(成世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충달(成忠達)의 아들이자 성륜(成倫)의 아버지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고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에 오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곽한방 - 곽한방(郭翰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지낸 곽종의(郭宗儀)의 아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양천 현령(陽川縣令) 등을 지냄.
1486~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김말 - 김말(金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후진 교육과 경학 발전에 큰 공로가 있어 김구(金鉤)ㆍ김반(金泮)과 더불어 ‘삼김(三金)’ㆍ‘경학삼김(經學三金)’ㆍ‘관중삼김(館中三金)’으로 불림.
1379~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간 - 이간(李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풍덕 군수(豐德郡守) 이광윤(李光胤)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첨지(僉知) 등을 지냄.
1527~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계량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원간 - 이원간(李元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독(李孝篤)의 아들로,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격이 강직하고 엄격하였음.
?~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 - 김계정(金繼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삼척(三陟). 효력부위(效力副尉) 김중로(金中魯)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지내고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박형간 - 박형간(朴亨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수장(朴秀樟)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간천(澗泉) - 한표(韓淲)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 한원길(韓元吉)의 아들로, 장천(章泉) 조번(趙蕃)과 함께 ‘이천(二泉)’으로 불림. 저서로 《간천일기(澗泉日記)》 등이 있음.
1159~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평황제(簡平皇帝) - 정종(定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 제국의 제2대 칸. 재위 1246~1248. 태종(太宗)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脫列哥那可敦).
?~124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간호(艮湖)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간회(姦檜)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갈^관(葛^管) - 관^갈(管^葛)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과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을 함께 부르는 말. 왕을 보좌하여 국가의 기반을 다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삼국시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갈강(渴羌) - 요복(姚馥)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강인(姜人)으로 98세까지 장수했으며 애주가였음. 무제(武帝) 때에 주천 태수(酒泉太守)를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갈건옹(葛巾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