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감(瑊)@김감 - 김감(金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504년(연산군 1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감(瑊)@이집의아들 - 이감(李瑊)@이집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이며,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이성중(李誠中)ㆍ예조 정랑(禮曹正郞) 이경중(李敬中)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이양중(李養中)의 아버지.
1515~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감(鑑)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감곡(鑑谷)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감마랄(甘麻刺) - 현종(顯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왕. 태정제(泰定帝)의 아버지이며,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비(妃)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1263~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감문(甘文)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감봉(紺峯) - 감악산(紺岳山)
경기도 파주(坡州)와 양주(楊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흘러나온다 하여 감색바위라고 함. 이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임.
경기도>파주ㅣ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감산당사부고(弇山堂四部稿) - 엄주산인사부고(弇州山人四部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의 최초의 시문집. 부부(賦部)ㆍ시부(詩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로 구성되어 있으며, 1577년 세경당(世經堂)에서 판각함.
157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감수(鑑水) - 감호(鑑湖)
강원도 고성(高城)에 있는 호수 이름.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감수재(感樹齋)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감시(監試) - 국자감시(國子監試)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禮部試)의 예비시험.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로 이루어지며, 급제하면 진사(進士)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1031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감시(監試)@사마시 - 사마시(司馬試)
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로 구성되는데, 생원시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부(賦)와 시(詩)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진행되고, 대과(大科)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
1393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감악(紺岳) - 감악산(紺岳山)
경기도 파주(坡州)와 양주(楊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흘러나온다 하여 감색바위라고 함. 이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임.
경기도>파주ㅣ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감음(感陰)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감자씨(甘蔗氏)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감주(甘州)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감지(勘之) - 송세감(宋世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자산 군수(慈山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감지선사(鑑智禪師)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감찬(邯贊)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감찰규정(監察糾正)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