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감찰내사(監察內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사(監察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사(監察司)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감찰사헌(監察司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어사(監察御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천(甘泉)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감파(甘波)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감파(紺坡)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감파문집(紺坡文集) - 감파집(紺坡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유해(崔有海)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감헌(酣軒) - 박진(朴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감호(鑑湖)@경호 - 경호(鏡湖)
중국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에 있는 호수 이름. 물이 거울처럼 잔잔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감호(鑑湖)@하지장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감호(鑑湖)@경포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감호자(鑑湖子)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감화상(鑑和尙)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갑(㝓)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갑눌(甲訥) - 김갑눌(金甲訥)
조선 전기의 유학.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여 한때 홍귀달이 그의 집에 기거하기도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갑대량곡(甲大良谷) - 기장(機張)
경상도 동래(東萊)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 때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白雲山)에 고승 원효(元曉)의 유적(遺跡)이 전함.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갑산군(甲山郡)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
-
갑선(甲先) - 정갑선(鄭甲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무신 정내(鄭鼐)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