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갑손(甲孫)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갑술경화(甲戌更化) -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선 숙종(肅宗) 20년에 당시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복위를 꾀하던 서인(西人)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실각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남인은 와해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되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왕비가 된 장씨(張氏)는 다시 희빈(禧嬪)으로 강등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갑술옥사(甲戌獄事) -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선 숙종(肅宗) 20년에 당시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복위를 꾀하던 서인(西人)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실각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남인은 와해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되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왕비가 된 장씨(張氏)는 다시 희빈(禧嬪)으로 강등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갑오(甲午) - 장후(莊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후. 재위 B.C.645~B.C.612. 무후(繆侯)의 아들이자 문후(文侯)의 아버지.
?~B.C.61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갑을경(甲乙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갑자난(甲子難)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난리(甲子亂離)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란(甲子亂)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사화(甲子史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옥(甲子獄)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옥(甲子獄)@이괄지란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재화(甲子再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지난(甲子之難)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란(甲子之亂)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옥(甲子之獄)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지옥(甲子之獄)@이괄지란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화(甲子之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화(甲子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조(甲祚)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갑주(甲州)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