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강경순(姜景醇)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계군(江界郡)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루인(江界纍人)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계면(江界面)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부(江界府)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읍(江界邑)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고(江皐) - 유심춘(柳尋春)
조선 정조(正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광수(柳光洙)의 아들로, 유발(柳潑)에게 출계함. 평소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詩文)에도 능함.
1762~18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강고산(姜高山) - 강한(姜漢)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筆法)이 정묘했으며,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문하(門下)에서 정옥견(鄭玉堅)ㆍ권오복(權五福)ㆍ정사룡(鄭士龍) 등이 배출되었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곡(康谷) - 강왕곡(康王谷)
중국 강서성(江西省) 최북단에 있는 여산(廬山)의 계곡 이름. 당(唐) 나라 육우(陸羽)의 《다경(茶經)》 3편에서 강왕곡의 수렴천(水簾泉)이 차를 끊여 마시기에 가장 좋은 물이라고 평가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강광(姜光) - 장공(莊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53~B.C.548. 영공(靈公)의 아들로, 대부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 당함.
?~B.C.5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강광(康光)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강광(康廣)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강구송(康衢頌) - 강구요(康衢謠)
중국 고대(古代) 요(堯) 임금 때의 가요(歌謠) 이름. 요 임금의 은덕(恩德)으로 천하가 절로 다스려지자 백성들이 이를 칭송하며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강군보(姜君保) - 강담(姜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강규정(姜葵亭)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남산인(江南山人)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강남야로(江南野老)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강남행고(江南行稿) - 강남기행시고(江南紀行詩稿)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정공권(鄭公權)이 중국 강남(江南) 일대를 여행하면서 기행문 형식으로 쓴 시집(詩集).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발문을 씀.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강녀(姜女) - 태강(太姜)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비(妃). 왕계(王季)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사(太姒)와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