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강백승(姜伯承) - 강종윤(姜宗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생 강덕윤(姜德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백회(姜伯淮) - 강굉(姜肱)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은사(隱士). 동생 강중해(姜仲海)ㆍ강계강(姜季江)과 함께 효행(孝行)과 우애(友愛)로 이름이 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은자
-
강비(康妃)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강빈(姜嬪) -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아들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빈(嬪)으로, 강석기(姜碩期)의 딸. 병자호란(丙子胡亂) 후 심양(瀋陽)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와 역모로 몰려 사사됨.
1611~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세자빈
-
강사(江寺) - 임강사(臨江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도산(陶山) 하류 쪽에 있던 사찰.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이현보(李賢輔)가 우거(寓居)하면서 이황(李滉) 등과 교류하던 곳.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강상(姜尙)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강상지(姜尙之)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서사영운(江西謝靈運)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강서시조(江西詩祖)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서종파(江西宗派) - 강서시파(江西詩派)
중국 북송 말기에서 남송 초기에 유행한 시(詩)의 유파. 황정견(黃庭堅)을 시종(詩宗)으로 하며, 여본중(呂本中)이 처음으로 이름한 데서 유래함.
중국>송 , 중국 , 사상>기타사상
-
강서처사(江西處士)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강서파(江西派) - 강서시파(江西詩派)
중국 북송 말기에서 남송 초기에 유행한 시(詩)의 유파. 황정견(黃庭堅)을 시종(詩宗)으로 하며, 여본중(呂本中)이 처음으로 이름한 데서 유래함.
중국>송 , 중국 , 사상>기타사상
-
강성(康成) - 정현(鄭玄)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장공조(張恭祖)ㆍ마융(馬融)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 경학(經學)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
127~20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강성(江城) - 단성(丹城)
경상남도 산청(山淸)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단계(丹溪)와 강성(江城)이 합해서 이루어짐.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강성군(江城君)@봉석주 - 봉석주(奉石柱)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하음(河陰). 계유정난 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냈으나, 탐욕스럽고 포악한 성품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음.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성군(江城君)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강성문씨(江城文氏) - 단성문씨(丹城文氏)
남평문씨(南平文氏)에서 갈라져 나온 분파(分派)의 하나로,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중국에서 목화씨를 들여온 문익점(文益漸)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집단>성씨
-
강성부정(江城副正) - 이견손(李堅孫)@이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이며 동양정(東陽正) 이서(李徐)의 아들로,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민영(閔寧)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소백(姜小白)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강송암(姜松庵)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