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개청(介淸)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개추(介推)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평(蓋平) - 개주(蓋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동북쪽에 위치한 주(州) 이름. 고구려(高句麗)와 당(唐) 나라의 전쟁 때 당 나라의 장수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의 개갈모성(蓋葛牟城)을 함락시키고 개주(蓋州)로 만듦.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헌(介軒) - 동몽정(董夢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호방평(胡方平)에게 역학(易學)을 전수함. 황간과 동수(董銖)에서 비롯한 주자(朱子) 계통의 학문을 계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개화(皆火)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개흥(開興) - 배천(白川)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백주(白州)라 부르고 의종(毅宗) 때 개흥부(開興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 조선 태종(太宗)때 배천군(白川郡)이 되었음.
황해도>배천 , 지명>행정지명
-
갱(鏗) - 김갱(金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후사로 입적한 김대장(金大壯)의 맏아들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김치구(金致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갱분(坑焚)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갱생(更生) - 유향(劉向)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성제(成帝) 때의 학자. 선제 때 간대부(諫大夫)로 등용되고 석거각(石渠閣)에서 오경(五經)을 강의하였으며, 《설원(說苑)》ㆍ《열녀전(列女傳)》ㆍ《전국책(戰國策)》등 많은 저서를 남김.
B.C.79?~B.C.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갱유분서(坑儒焚書)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갱힐후(羹頡侯) - 유신(劉信)
중국 전한(前漢) 때의 제후. 고조(高祖)의 조카로, 서주(舒州) 지역의 토지를 구획하고 경지를 정리하였으며 농수 공급과 홍수 방지를 위한 방죽을 쌓았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거(岠) - 영양군(永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소생으로, 선조(宣祖)의 아버지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동모형(同母兄)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거(據) - 신거(申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신여종(申汝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거(擧) - 권거(權擧)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근신(權謹臣)의 아버지로 충찬위(忠贊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거(琚) - 송거(宋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아들이자, 단종(端宗)의 처남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경력(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거(璖)@이거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거(璖)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거(蘧) - 이거(李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세순(李世純)의 아들. 허엽(許曄)의 문인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尹仁涵)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32~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거(裾) - 신거(辛裾)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아버지로, 문하 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거(𤦲)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