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거가의(居家儀) - 거가잡의(居家雜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사례(四禮)에 의거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祠堂) 제도와 예복(禮服)인 심의(深衣) 제도 등 집에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해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거겸(居謙)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경(居卿) - 오세우(吳世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兵馬水軍虞侯)를 지낸 오자영(吳自瑩)의 아들로, 감역관(監役官)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경(居敬)@김흠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경(居敬)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박원량 - 박원량(朴元良)@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거경(巨卿)@범식 - 범식(范式)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형주 자사(荊州刺史)와 여강 태수(廬江太守)를 지냈으며, 친구인 장소(張劭)와 약속한 거경지신(巨卿之信)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 - 개연(蓋延)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후한의 건국공신인 이십팔장(二十八將) 가운데 한 사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거경(巨卿)@박처륜 - 박처륜(朴處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박사란(朴思襴)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거관(居寬)@탁거관 - 탁거관(卓居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호(卓有怙)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거관(居寬)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거광(居廣) - 서거광(徐居廣)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지낸 서미성(徐彌性)의 아들이며, 문충공(文忠公) 서거정(徐居正)의 형. 언양 현감(彦陽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거군(巨君)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군(巨君)@정홍 - 정홍(鄭弘)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회계(會稽) 산음(山陰) 사람으로 회양 태수(淮陽太守)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기장군(車騎將軍) - 두헌(竇憲)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ㆍ문신. 후한 제3대 장제(章帝)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 정치를 전횡하고, 화제(和帝)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
?~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래사(去來辭)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거래편(去來篇)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거련(巨連) - 장수왕(長壽王)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 평양성(平壤城)으로 천도(遷都)하고, 백제(百濟)를 공격하여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이끌어 내는 등 왕권의 강화와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394~4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거록군공(巨鹿郡公)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