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거류하(巨流河)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거린(巨鱗) - 박거린(朴巨鱗)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04(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거마도(巨磨島)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거명(居明) - 이거명(李居明)
통일신라 때의 문신.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중시조. 진골(眞骨) 출신이며,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으로, 소판(蘇判)에 오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거묵(居默) - 석허중(石虛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벼루의 의인화된 명칭.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거미(巨美)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방(巨舫) - 홍거방(洪巨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경재(敬齋) 홍붕(洪鵬)의 아버지로, 주부(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거백옥(蘧伯玉)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거병(去病)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거보(居父)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거비(去非)@진여의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비(去非)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사(居士)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거산(巨山)@이교 - 이교(李嶠)@당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봉각 사인(鳳閣舍人)ㆍ통주 자사(通州刺史)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소미도(蘇味道)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5~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산(巨山) - 방악(方岳)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남강군(知南康軍)ㆍ지소무군(知邵武軍) 등을 지내고, 《추애집(秋崖集)》을 저술함.
1199~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서(巨黍)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거섭조천왕(居攝趙天王)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성(車城) - 기장(機張)
경상도 동래(東萊)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 때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白雲山)에 고승 원효(元曉)의 유적(遺跡)이 전함.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거소(去疎) - 박거소(朴去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육조사(判六曹事) 박석명(朴錫命)의 아들이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박중선(朴仲善)의 아버지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거식(渠軾)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