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거이(居怡)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이(居易)@김순명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백거이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이거이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이(居易) - 이명숭(李命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효(李元孝)의 아들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日本)에 다녀왔으며,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신거이 - 신거이(愼居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형조 정랑(刑曹正郞),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신거관(愼居寬)의 사촌 형.
148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거인(居仁)@호거인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거인(居仁)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거인(居仁)@채무적 - 채무적(蔡無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0~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거인(居仁)@이거인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거인산(巨人山)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거자(莒子) - 거거질(莒去疾)
중국 춘추전국시대 거(莒)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의 힘을 빌려 거 나라로 돌아와 전여(展輿)를 토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거정(居正)@장거정 - 장거정(張居正)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 저서로 《서경직해(書經直解)》ㆍ《장태악집(張太岳集)》등이 있음.
1525~158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유거정 - 유거정(劉居正)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유지(劉摯)의 아버지로, 비서 승(秘書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설거정 - 설거정(薛居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칙명을 받들어 924년(태조 7)에 후량(後梁)ㆍ후당(後唐)ㆍ후진(後晉)ㆍ후한(後漢)ㆍ후주(後周)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구오대사(舊五代史)》를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거정(居正)@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제도(巨濟島)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제부(巨濟府)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제정(巨濟正)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