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거제현(巨濟縣)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중(居中)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거중(居重) - 탁거중(卓居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항(卓有恒)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거지화(居知火) - 언양(彦陽)
경상도 울주(蔚州)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고려 인종(仁宗) 때 감무(監務)를 두고 언양으로 개칭함.
경상도>언양 , 지명>행정지명
-
거진(去塵)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진(巨鎭)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거창군(居昌君)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천(巨川)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충(居忠) - 강거충(姜居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강세창(姜世昌)의 아버지로 충익부 도사(忠翊府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거칠산군(居漆山郡)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거타(居陀)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거허(駏驉) - 거허(距虛)
중국 전설상의 동물. 궐(蹶)이라는 동물에게 음식을 봉양 받고, 대신 궐에게 다급한 일이 생기면 궐을 업고 달린다고 함.
중국 , 자연물>동물
-
거화(去華) - 박의영(朴義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맏아들이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박증영(朴增榮)의 형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56~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거화(去華)@이혼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후(居厚) - 채거후(蔡居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어사(御史) 채연희(蔡延禧)의 아들로, 우정언(右正言)ㆍ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乾) - 박건(朴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한(典翰)을 지낸 박융(朴融)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건(健)@형건 - 형건(邢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형사보(邢士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건(健)@오건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健)@유건 - 유건(柳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했음. 송순(宋純)ㆍ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여 교유함.
149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