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건(健)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건(健)@성건 - 성건(成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동생으로, 세조 때 권신 한명회(韓明澮)를 탄핵하여 체직시켰고, 성종 때 각별한 총애를 받음.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건(健)@권건 - 권건(權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람(權攬)의 아들이며 전성군(全城君)의 장인.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아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역대명감(歷代名鑑)》의 편찬에 참여함.
1458~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건(健)@정건 - 정건(鄭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홍(鄭仁弘)의 작은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봉됨.
1520~156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건(健)@신건 - 신건(申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낸 신우호(申友顥)의 아들로, 한백겸(韓百謙)의 외조부.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建)@구양건 - 구양건(歐陽建)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랑(尙書郞)ㆍ풍익 태수(馮翊太守) 등을 지냈으나, 석숭(石崇)의 조카라는 이유로 조왕(趙王)에게 피살됨.
26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建) - 이건(李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건(楗)@임건 - 임건(任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豐川). 임유겸(任由謙)의 아들이며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楗)@박건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건(楗)@이건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순전(李純全)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36~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건(楗)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셋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의 아우이고, 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ㆍ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건(虔)@기건 - 기건(奇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지평(持平)에 제수됨.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끝까지 절개를 지킴.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건(虔) - 영왕(靈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B.C.540~B.C.529. 토목과 사치를 좋아하여 장화대(章華臺)를 만들고, 음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뒤에 공자비(公子比)에게 패하여 자결함.
?~B.C.5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건(謇) - 정건(鄭謇)
조선 전기의 유학. 일찍이 주세붕(周世鵬)과 함께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건(鍵)@심건 - 심건(沈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심봉원(沈逢源)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519~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鍵) - 이건(李鍵)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여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건(鍵)@김건 - 김건(金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김유(金愉)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최충성(崔忠成)과 함께 남효온(南孝溫)을 방문하여 《소학(小學)》ㆍ《근사록(近思錄)》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건(騫)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건강(建江)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건계(建溪) - 양산형(梁山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15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