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건녕(建寧) - 강묵(江默)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선조인 강지(江贄)가 편찬한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이종 1)에 출간함. 건녕현 지사(建寧縣知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덕(建德) - 두건덕(竇建德)
중국 수(隨) 말~ 당(唐) 초의 무장(武將). 수 나라 말기에 하북(河北) 지방에 하(夏) 나라를 세웠으나, 621년 당 나라의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하여 장안(長安)에서 참수(斬首)됨.
573~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건릉(健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건명(健命)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무(建武)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무제(建武帝)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문(建文)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문제(建文帝)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백(乾伯)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부제(乾符帝)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성(建成)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건성후(建成侯)@황패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성후(建成侯)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수(健壽) - 김건수(金健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종제(從弟)로,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에 그와 시를 읊은 기록이 보임.
148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건숙(健叔)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안구씨(建安丘氏) - 구부국(丘富國)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에게서 수학하고 단양 첨판(端陽僉判)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주역집해(周易輯解)》ㆍ《경세보유(經世補遺)》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안섭씨(建安葉氏)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안칠가(建安七家) - 건안칠자(建安七子)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연간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 조조(曹操)ㆍ조비(曹丕)ㆍ조식(曹植)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孔融)ㆍ진림(陳琳)ㆍ왕찬(王粲)ㆍ서간(徐幹)ㆍ완우(阮瑀)ㆍ응창(鷹瑒)ㆍ유정(劉楨)을 이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건왕(建王)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용(蹇瑢)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