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건원릉(健元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건재(健齋)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건재선생문집(健齋先生文集) - 건재집(健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시문집(詩文集). 목활자본. 11권 2책. 초간본(初刊本)은 1893년(고종 30)에 김문상(金玟相) 등이 유실되고 남은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활자로 인간(印刊)함.
189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건적(建賊) - 범여위(范汝爲)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도적. 고종 때 경제적 여건에 비해 인구가 과다해지고 이에 따라 생활이 어려워지자 농민들을 이끌고 난을 일으킴.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적
-
건정(建正)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건제(乾濟)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건중(健中)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중(健仲)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건중(楗仲)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지(健之)@유영건 - 유영건(柳永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유감(柳堪)의 아들로, 맹산 현감(孟山縣監)ㆍ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이직언(李直彦)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35~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건지(健之)@이야순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건지(健之)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천(巾川)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평후(建平侯)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걸(傑)@권걸 - 권걸(權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람(權攬)의 아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걸(傑)@문걸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걸(傑)@김걸 - 김걸(金傑)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 김유(金逌)의 아버지로,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걸(傑) - 이걸(李傑)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걸직벌(乞直伐) - 태조(太祖)@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1대 왕. 재위 409~430. 소성제(昭成帝)의 형으로, 후연(後燕)의 왕인 모용희(慕容熙)를 죽이고 모용운(慕容雲)을 왕위에 앉혔다가 모용운이 죽자 등극함.
?~4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검각주(劍刻舟)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