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검관(劒館) - 검수관(劒水館)
조선시대 금교도(金郊道)의 속역(屬驛) 중 하나였던 역관(驛館). 황해도 봉산(鳳山)에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관사
-
검교태위계림자사영해군사신라왕(檢校太尉鷄林刺史寧海軍使新羅王)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검국(黔國)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검국공(黔國公)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검남(劒南)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검단산(儉端山) - 검단산(黔丹山)
경기도 광주(廣州) 지역에 속해 있던 산 이름. 광주의 진산(鎭山)으로 일컬어짐.
경기도>광주 , 지명>자연지명
-
검도(黔島) - 검동도(黔同島)
평안도 의주(義州)의 압록강(鴨綠江)에 있는 섬의 하나. 어적도(於赤島)ㆍ위화도(威化島)와 더불어 의주의 삼도(三島)로 일컬어짐.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검동(黔童)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검봉(劒峯)@검각산 - 검각산(劒閣山)
중국 익주(益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의 북쪽에서 익주로 올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 지세가 험하여 군사 요충지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검산도(劒山島) - 흑산도(黑山島)
전라남도 신안(新安)에 속한 섬 이름. 홍도(紅島)ㆍ대둔도(大芚島)ㆍ영산도(永山島)ㆍ가거도(可居島)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룸.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검암서원(劍巖書院) - 팔봉서원(八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충주(忠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이자(李耔)ㆍ이경연(李慶延)ㆍ김세필(金世弼)ㆍ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5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검지(檢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검진(劍津) - 연평진(延平津)
중국 복건성(福建省) 남평현(南平縣) 동쪽에 있었던 옛 나루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가지고 있던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을 이곳에 빠뜨리자 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검포(黔浦) - 김포(金浦)
경기도 북서쪽 한강(漢江) 하구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시대 한양(漢陽)의 관문이며, 김포평야(金浦平野)를 끼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임.
경기도>김포 , 지명>행정지명
-
검호(檢湖)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게문안공전집(揭文安公全集) - 게문안공집(揭文安公集)
중국 원(元) 나라 때의 문인 게혜사(揭傒斯)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격(䛿) - 이격(李䛿)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격(格)@유격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격(格)@허격 - 허격(許格)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이안눌(李安訥)에게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죽은 후 심상(心喪) 3년을 지내고 김상헌(金尙憲)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굴욕적인 강화로 끝나자 통곡하고 학문을 그만두었음.
1607~169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
-
격(格)@남격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