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격치조(格致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치편(格致篇)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통(格通) - 격물통(格物通)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湛若水)가 편찬한 책.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본떠 지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견(堅)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견(涀) - 강견(姜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항(姜沆)의 형이고 이이(李珥)의 문인. 정여립(鄭汝立) 사건 때 최영경(崔永慶)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하여 옥사(獄死)하게 함.
155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견(狷)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견(甄) - 서견(徐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안향(安珦)의 문인(門人)으로, 공양왕(恭讓王) 때 사헌장령(司憲掌令)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에는 금천(衿川)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견(肩) - 심견(沈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심치(沈寘)의 아들로, 와서 별좌(瓦署別坐)를 역임함.
1426~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견가(甄家)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기(堅基)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견라(見羅)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견랑(甄郞)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명(見明)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견문록(見聞錄)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견미(堅味) - 임견미(林堅味)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1등 공신이 되고, 경복흥(慶復興) 일당을 숙청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면서 이인임(李仁任)과 함께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崔塋)ㆍ이성계(李成桂)에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무신
-
견벽(見碧)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견벽정(見碧亭)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견보(見甫)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견사정(見思亭) - 장한공(張漢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사림파들에 의해 삭훈되었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복적(復籍)됨.
1465~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견산(犬山) - 견문산(犬門山)
충청북도 충주(忠州) 남한강(南漢江)과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