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견하(汧河) - 견수(汧水)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발원해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로 흘러들어가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주영토가 견수(汧水)와 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지역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결(決)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결(潔)@권결 - 권결(權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권윤희(權胤禧)의 아들로,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서를 깊이 연구하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이이가 전형(銓衡)으로 있을 때 그의 명석함을 알고 벼슬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음.
1534~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결(潔)@심결 - 심결(沈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결(潔)@조선전기 - 오결(吳潔)@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1536년(중종 31)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명 나라 사신의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의주(義州)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결(潔)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결(潔)@조선후기 - 오결(吳潔)@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사서변의(四書辨疑)》를 저술하였으며,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결(結) - 강결(姜結)
조선 전기의 문신. 참판(參判)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급제하지 못하고 음보(蔭補)로 찰방(察訪)이 됨. 권벽(權擘)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결(結)@이결 - 이결(李結)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지후(祗候)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근(權近)과 교유함. 권근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여러 수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결기수(結己守)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결기수(結杞守)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과암(果菴) - 송덕상(宋德相)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교관 송무원(宋婺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현손. 정조 때 산림(山林)의 중심인물로 천거되어 활약하였으나, 홍국영(洪國榮)의 실각 후 정감록 사건에 연루되어 노론벽파(老論辟派)로 몰려 죽음.
?~17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옹(果翁)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과우(寡尤)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과원(菓園)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과재(果齋)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과재(果齋)@이중열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과재(果齋)@장수희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과재(果齋)@이방자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재(過齋)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