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과재이씨(果齋李氏)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전(科田) - 과전법(科田法)
1391년(공양왕 3) 조준(趙浚) 등에 의해 사전개혁(私田改革)이 단행됨으로써 새롭게 제정된, 조선 초기의 근간을 이루는 토지 제도.
1391~146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과정(瓜亭) - 정서(鄭敍)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며, 인종의 비(妃)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동생의 남편. 의종(毅宗) 때 참소를 받아 동래(東萊)ㆍ거제(巨濟)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과정곡(瓜亭曲)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과주(果州)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과지(果支)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지(菓支)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지(顆之)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과포(戈浦)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과혜(果兮)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회(寡悔)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곽(钁) - 김곽(金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 김언홍(金彦弘)의 아들. 외사촌 동생인 정황(丁熿)이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거제(巨濟)에 유배되어 있을 때 김곽에게 쓴 시(詩)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곽경고(郭景高) - 곽고(郭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으며,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이이(李珥)가 이별하면서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곽경순(郭景純) - 곽박(郭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ㆍ학자. 오행(五行)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에 능하며, 주석서(註釋書)에는 《이아(爾雅)》ㆍ《산해경(山海經)》ㆍ《방언(方言)》ㆍ《초사(楚辭)》 등이 있음. 유곤(劉琨)ㆍ좌사(左思)와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27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경정(郭景靜)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곤(郭稇)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곽관군(霍冠軍)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구주(郭九疇) - 곽영석(郭永錫)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중서검교(中書檢校) 등을 역임했으며, 1366년(공민왕 15)에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의 보빙사(報聘使)로 고려(高麗)에 왔음.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귀빈(郭貴嬪)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곽단곡(郭丹谷)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