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곽대용(郭大容)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곽문량(郭文良) - 곽추(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미수(郭眉叟)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곽백유(郭伯瑜)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곽병주(郭幷州)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분양(郭汾陽)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서포(郭西浦) - 곽열(郭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회영(郭懷英)의 아들로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냄.
1548~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세공(郭世功) - 곽세유(郭世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미(海美). 선조(宣祖) 때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낸 곽기수(郭期壽)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곽세후(郭細侯)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시정(郭時靜)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아랑(郭兒郞)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곽영공(郭令公)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왕(霍王) - 이원궤(李元軌)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열네 번째 아들.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모반 혐의로 피살된 이서(李緖)의 아버지로, 평생 겸신(謙慎)한 자세로 자신을 지켰다고 전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곽원진(郭元振)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위(郭威) - 태조(太祖)@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하나인 후주(後周)의 제1대 황제. 재위 951~954. 그의 강대한 세력을 견제하려는 후한(後漢)의 은제(隱帝)를 축출하고 제위에 올랐으며, 후한의 폐정(弊政)과 악법(惡法)을 폐지하는 등 개혁정치를 펼침.
904~95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곽유도(郭有道)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의직(郭宜直) - 곽희온(郭希溫)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으며 《우계집(牛溪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곽임종(郭林宗)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자(郭子)@곽황 - 곽황(郭況)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외척. 광무제의 처남으로 금보(金寶)를 많이 하사받아 세인들이 그 집을 금혈(金穴)이라 할 정도였는데, 집안의 4백여 명이나 되는 가솔이 날마다 금을 정련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곽자(郭子) - 곽거(郭巨)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이름난 효자. 가난한 형편에 노모(老母)를 봉양하기 위해 자식을 매장(埋葬)하려다가 황금을 얻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