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곽정보(郭靜甫)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곽주(郭州) - 곽산(郭山)
평안도 남부 해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 본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발해(渤海)를 거쳐 한때 여진(女眞)의 거점이 되기도 함. 이원(李黿) 등을 배향한 월포사(月浦祠)가 있음.
평안도>곽산 , 지명>행정지명
-
곽지사(郭知事) - 곽흘(郭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지사(知事)ㆍ함경북도 병사(咸鏡北道兵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초헌(軺軒)을 탔다 해서 논죄(論罪)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곽탁(郭槖) - 곽탁타(郭橐駝)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종수곽탁타전(種樹郭橐駝傳)〉의 주인공. 곱사병을 앓아 허리를 굽히고 걸어 다녔기 때문에 그 모습이 낙타와 비슷한 데가 있어서 세인들이 ‘탁타(橐駝)’라 불렀으며 종수(種樹)의 달인임.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곽태(郭太)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태정(郭泰靜)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표기(霍驃騎)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효자(郭孝子) - 곽의(郭義)
조선 전기의 효자.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공양한 효도를 기리는 시(詩)가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효자
-
관(寬) - 박관(朴寬)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친분이 있었는데, 유희춘이 진원 훈도(珍原訓導)로 추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관(寬)@허관 - 허관(許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허성(許誠)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禮院判決事)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관(寬)@윤관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관(寬)@손관 - 손관(孫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한성 윤(漢城尹) 손영유(孫永裕)의 아들이며,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아버지로, 진성 현감(眞城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관(寬)@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관(慣) - 이성군(利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용심씨(淑容沈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명종(明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148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관(灌)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관(灌)@심관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관(灌)@김관 - 김관(金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김장생(金長生)을 도와 의병활동에 가담했으며,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관(灌)@유관 - 유관(柳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삼흉(三凶)으로 몰려 사사됨.
1484~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관(灌)@안관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灌)@양관 - 양관(梁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거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이르렀고, 근면하고 청렴하여 청백리에 녹선됨.
1437~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