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琯) - 강관(姜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지낸 강응태(姜應台)의 아버지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琯)@기관 - 기관(奇琯)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황후(奇皇后)의 조부로, 삼사우사 상장군(三司右使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관(琯)@김관 - 김관(金琯)
고려 우왕(禑王)~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조부로, 벼슬하지 않고 집안에서 평생 부모를 섬겼으며, 후에 공조 참판(工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관(琯)@이관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관(瓘)@안관 - 안관(安瓘)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안민학(安敏學)의 첫째 아들로, 양배선(楊拜善) 등과 교류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관(瓘)@윤관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관(瓘)@우관 - 우관(禹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관(瓘)@이관 - 이관(李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윤실(李允實)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관(瓘)@유관 - 유관(劉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충순위(忠順衛) 유귀손(劉貴孫)의 아들.
1484~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관(瓘)@황관 - 황관(黃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장원군(長原君) 황맹헌(黃孟獻)의 아버지로, 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瓘)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관(祼) - 노관(盧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노진(盧禛)의 동생. 강익(姜翼)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152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관(綰)@유관 - 유관(兪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기계(杞溪). 예조 판서(禮曹判書) 유여림(兪汝霖)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1499~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관(綰)@김관 - 김관(金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나주 목사(羅州牧使) 김숭조(金崇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관(綰) - 한관(韓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효원(韓效元)의 아들. 1528년(중종 23)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입격하여 정랑(正郞)을 지냈으며, 이황(李滉)과 주고받은 서신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견(管見) - 독사관견(讀史管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인(胡寅)이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대해 논평한 사평집(史評集). 30권. 귀양살이할 때 지은 책으로, 《춘추(春秋)》 대의에 입각하여 자세하게 논평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관경(觀卿) - 김국광(金國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짐.
1415~148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관곡(寬谷) - 최서림(崔瑞琳)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통덕랑(通德郞) 최윤성(崔胤聖)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문인. 1662년(현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
1632~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관국(觀國)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군(冠軍)@곽거병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