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군(冠軍) - 송의(宋義)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장군. 초(楚) 회왕(懷王)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으나 항우(項羽)에게 살해당하고 멸족(滅族)까지 당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군후(冠軍侯)@가복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관군후(冠軍侯) - 왕보(王甫)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환관. 영제 즉위 후, 환관 조절(曹節)과 함께 진번(陳蕃)과 두무(竇武)를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발해왕(勃海王)의 모반사건을 꾸며 복주(伏誅)시키는 등 권세가 하늘을 찔렀으나, 탄핵을 받고 죽음.
?~1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관군후(冠軍侯)@곽거병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규(管窺) - 사서관규(四書管窺)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사백선(史伯璿)의 저서. 8권. 사서(四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널리 인용하여 주희(朱熹)의 집주(集註)와 차이나는 부분을 분석하여 논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관내후(關內侯)@평당 - 평당(平當)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승상(丞相). 경학(經學)에 밝아 박사(博士)가 되었으며, 애제 때 공신에 책록되고 승상에 오름. 아들 평안(平晏)도 대사도(大司徒)에 올라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영예를 누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내후(關內侯)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도(關道)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관동(關東)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관동도(關東道)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관동일록(關東日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 - 죽서루(竹西樓)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승휴(李承休)가 강원도 삼척(三陟) 성내동(城內洞)에 세운 누각.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태종(太宗) 때 김효손(金孝孫)이 중수(重修)함.
127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유적>건물>누정
-
관동행록(關東行錄) - 관동록(關東錄)@권오복
조선 전기의 학자인 권오복(權五福)이 저술한 책. 김일손(金馹孫)의 발문(跋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행록(關東行錄)@관동록 - 관동록(關東錄)@이우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이황(李滉)의 숙부인 이우(李堣)가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낼 때 저술한 책.
151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행록(關東行錄)@관동록(정유일) - 관동록(關東錄)@정유일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강원 도사(江原都事)로 있을 때 그곳의 산수와 누대의 경치를 기록한 책.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관락(觀樂) - 황서절(黃瑞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길안부(吉安府) 안복현(安福縣)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주자성서(朱子成書)》를 편찬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관란(觀瀾)@서관란 - 서관란(徐觀瀾)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8년(선조 31)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명 나라 사신.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란(觀瀾)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관령(關嶺) - 대관령(大關嶺)
강원도 강릉(江陵)과 평창(平昌)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영동(嶺東)과 영서(嶺西)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함.
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관림(管林) - 이관림(李管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유학 이섭(李涉)의 아버지로, 직산 현감(稷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