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묘(關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문(冠文)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관물(觀物)@송세형 - 송세형(宋世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재정(財政)에 밝아 시폐(時弊) 개혁에 힘씀.
?~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관물(觀物)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관물당(觀物堂)@반충 - 반충(潘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지극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충효로써 정려함. 《약포집(藥圃集)》과 《학사집(鶴沙集)》에 묘지(墓誌)와 비명(碑銘)이 실려 있음.
1508~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관물재(觀物齋)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관백(關伯) - 관백(關白)
일본 평안시대(平安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에 천황(天皇)을 보좌하여 정사를 집행하던 관직. 실제적인 권력자로 관례상 등원씨(藤原氏) 가문이 독점하였으나 풍신수길(豊臣秀吉) 이후에는 실권이 없어짐.
일본>평안시대 , 일본 , 법제>관직
-
관보(寬甫) - 이민성(李民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1597년(선조 3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냄. 저서로 《경정집(敬亭集)》이 있음.
1570~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관보(關輔)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관부(寬夫)@박사관 - 박사관(朴思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죽산(竹山).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박겸무(朴兼武)의 손자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모친을 지키다 왜병에게 살해됨.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박감역소전(朴監役小傳)〉이 실려 있음.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ㅣ경기도>교하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관부(寬夫)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부(寬夫)@조언박 - 조언박(曺彦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한필(曺漢弼)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부(寬夫)@채거후 - 채거후(蔡居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어사(御史) 채연희(蔡延禧)의 아들로, 우정언(右正言)ㆍ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부(貫夫) - 안종도(安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경률(安景嵂)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 이감(李戡)ㆍ이중경(李重慶)과 동향(同鄕) 친구로, 권신 이량(李樑)의 비호 아래 현직(顯職)을 두루 지냄.
1522~16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부(貫夫)@노종도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사(觀師) - 영관(靈觀)
조선 연산군(燕山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ㆍ법융(法融)의 스승으로, 신총(信聰)에게 불경을 배우고 위봉(威鳳)에게 참선을 배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1485~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종교인>승려
-
관산(冠山)@문경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관산(冠山) - 관악산(冠岳山)
서울과 안양(安養)ㆍ시흥(始興)ㆍ과천(果川)의 경계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경기도>금천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관서공자(關西孔子)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서백기(關西伯起)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