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서부자(關西夫子)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서부자(關西夫子)@유희춘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서선니(關西宣尼)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설당(觀雪堂)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관섭(觀燮) - 이관섭(李觀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를 지낸 이인행(李仁行)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관성(管城) - 모영(毛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洪聖民)이 지은 작품의 인물. 수(愁)ㆍ성(性)ㆍ정(情)ㆍ지(志)ㆍ기(氣)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천군견지수공수성(天君遣志帥攻愁城)〉에 무신으로 등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성(管城)@옥천 - 옥천(沃川)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옥천향교(沃川鄕校)ㆍ청산향교(靑山鄕校) 등의 사적이 남아 있음.
충청도>옥천 , 지명>행정지명
-
관성묘(關聖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성자(管城子) - 모원예(毛元銳)
붓의 의인화된 명칭.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먹의 역현광(易玄光),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소이간(蘇易簡)의 《문방사보(文房四譜)》에 보임.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성후(管城侯) - 모원예(毛元銳)
붓의 의인화된 명칭.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먹의 역현광(易玄光),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소이간(蘇易簡)의 《문방사보(文房四譜)》에 보임.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세자재(觀世自在)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송(觀松)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수정(觀水亭)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관씨(管氏)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아당(觀我堂)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관아재(觀我齋)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관악산(貫岳山) - 관악산(冠岳山)
서울과 안양(安養)ㆍ시흥(始興)ㆍ과천(果川)의 경계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경기도>금천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관암(串巖)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