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수정(觀水亭)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관씨(管氏)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아당(觀我堂)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관아재(觀我齋)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관악산(貫岳山) - 관악산(冠岳山)
서울과 안양(安養)ㆍ시흥(始興)ㆍ과천(果川)의 경계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경기도>금천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관암(串巖)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관야묘(關爺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어대부(觀魚臺賦) - 관어대소부(觀魚臺小賦)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觀魚臺)에서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문헌>작품명
-
관영(貫盈)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관옥(冠玉)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관옹(灌翁)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왕(關王) - 관우(關羽)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후한(後漢) 말에 유비(劉備)ㆍ장비(張飛)와 함께 의형제를 맺고, 208년 적벽전(赤壁戰) 때 수군(水軍)을 통솔하여 큰 공을 세움.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요(寬饒) - 합관요(蓋寬饒)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諫大夫)를 거쳐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지내다가,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上奏)를 하여 자결함.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용봉(關龍逢)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우(關右)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우묘(關羽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원(灌園) - 박계현(朴啓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신 윤원형(尹元衡)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
152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관원(灌園)@남응운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관유안(管幼安)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관윤(關尹) - 윤희(尹喜)
중국 주(周) 나라의 대부(大夫). 함곡관 윤(函谷關尹)을 지낼 때 서역(西域)으로 가던 노자(老子)가 함곡관(函谷關)을 지나가자 제자(弟子)의 예를 갖추고 《도덕경(道德經)》 오천언(五千言)을 받았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