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음(觀音)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음노(觀音奴) - 한중보(韓仲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시의사 통사사인(侍儀司通事舍人)ㆍ중흥무공고 부사(中興武功庫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관음대사(觀音大士)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음보살(觀音菩薩)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음사(觀音寺)@삼막사 - 삼막사(三幕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경기도 금천(金川) 삼성산(三聖山)에 건립한 사찰. 677년(문무왕 7) 원효(元曉)ㆍ의상(義湘)ㆍ윤필(潤筆) 등 세 대사(大師)가 관악산(冠岳山)에 들어와서 막(幕)을 치고 수도한 것에서 유래됨. 원효가 창건하고, 도선(道詵)이 중건함.
67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금천 , 유적>건물>사찰
-
관의(寬義)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이(觀頤)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이당(觀頤堂)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이도인(觀頤道人)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자(管子)@관녕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관자(管子)@관중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자재(觀自在)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장군(灌將軍) - 관영(灌嬰)
중국 진말(秦末)~한초(漢初) 때의 무신. 한(漢) 나라의 개국공신. 한 고조(漢高祖)를 도와 한중(漢中)의 공략과 초한(楚漢)의 팽성(彭城) 전투 때에 공을 세웠으며, 여후(呂后)가 죽은 뒤에 주발(周勃) 등과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6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관재(觀齋)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관정(寬靖) - 홍선(洪詵)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당성(唐城). 홍백수(洪百壽)의 아들이며 홍탁(洪鐸)의 아버지. 1304년(충렬왕 30) 충선왕(忠宣王)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
?~13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제묘(關帝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중(寬中)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관중(寬仲) - 박률(朴栗)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북평사(北評事)를 지냄.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관지(灌之)@이적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관지(灌之)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