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화헌(關華軒) - 설정총(薛廷寵)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39년(중종 34)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 이때 모화관(慕華館) 앞의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하게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후(寬厚) - 안관후(安寬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을 지낸 안경(安璟)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
14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관후암(觀後庵)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괄(适)@이괄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괄(适) - 기괄(奇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기찬(奇襸)의 셋째 아들이자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의 형으로,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광(㼅)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광(光)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光)@김광 - 김광(金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군수(郡守) 김익복(金益福)의 아버지로,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광(光)@사마광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光)@이광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광(匡) - 이광(李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아들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광(廣)@변광 - 변광(邊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영주(榮州)에서 안동(安東)으로 이거(移居)한 원주변씨(原州邊氏)의 입향조(入鄕祖).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변희예(邊希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93~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광(廣)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礦)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객(狂客)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거(廣居) - 송녕(宋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송지정(宋之楨)의 아들이며, 이암(頤庵) 송인(宋寅)의 사촌 동생. 평강 현감(平康縣監)ㆍ안성 군수(安城郡守)ㆍ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계(光啓)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광고(光考)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국(光國) - 하광국(河光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광국(匡國) - 이광국(李匡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상안(李尙安)의 아버지로, 연산 현감(連山縣監)ㆍ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