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무군(廣武君)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광무후(光武后)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광문(光門) - 심광문(沈光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형. 장흥고 영(長興庫令)ㆍ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냄.
1476~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문(廣文)@양희윤 - 양희윤(梁希尹)
조선 후기의 유학. 황정욱(黃廷彧)ㆍ홍성민(洪聖民)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광문(廣文)@정건 - 정건(鄭虔)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두보(杜甫)의 벗으로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예(三藝)에 능하여 정건삼절(鄭虔三絶)로 일컬어짐. 현종이 그를 위해 광문관(廣文館)을 설치하고 박사(博士)로 임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문(廣文)@심의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문(廣文)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광문숙무효고황제(光文肅武孝高皇帝)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범(光範) - 김광범(金光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익돈(金益敦)의 아버지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광보(光寶)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甫) - 권황(權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낸 권현(權鉉)의 아들로,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냄.
150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輔) - 이광보(李光輔)
고려 후기의 문신. 판사(判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輔)@정광보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광보(廣輔)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광복(匡復) - 김광복(金匡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라 도사(全羅都事)를 지내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鏡城敎授)가 되었다가 병사(病死)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광복군(廣福君)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부(光富) - 이광부(李光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 1371(공민왕 20) 신돈(辛旽)의 당으로 지목되어 형제인 이춘부(李春富)ㆍ이원부(李元富)와 함께 유배를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광부(匡阜) - 광산(匡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이백(李白)이 이곳에서 머리가 희어지도록 글을 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광부(廣夫)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광사(匡事)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