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산군(光山君)@김정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탁지엽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廣山君)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廣山君)@이윤경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노씨(光山盧氏) - 광주노씨(光州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진 그의 맏아들 노해(盧垓)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산백(光山伯) - 노해(盧垓)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짐. 광주노씨(光州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김국광 - 김국광(金國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짐.
1415~148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김흥광 - 김흥광(金興光)
신라의 왕자. 헌강왕(憲康王) 또는 신무왕(神武王)의 아들이라고 함. 신라의 비운을 예견하여 무주(武州)에 은거하였으며,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광산수(光山守) - 이효윤(李孝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장자(長子).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광산이씨(廣山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산정씨(光山鄭氏) - 광주정씨(光州鄭氏)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은사(奉恩寺)의 진전직(眞殿直)을 지낸 정신호(鄭臣扈)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서(光叙) - 김광서(金光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김구(金坵)의 현손으로, 지고부군사(知古阜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광서(光瑞) - 문광서(文光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선동(文善仝)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광선(光先) - 유광선(柳光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이며 유경렴(柳景濂)의 아들로, 김장(金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광선(廣宣)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광섭(光涉) - 신광섭(申光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인 신명수(申蓂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광성(光城)@김익훈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성(光城)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