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성(匡城)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광성(廣城)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성군(光城君)@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김혁 - 김혁(金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백겸(金伯謙)의 아버지로, 행 통정대부(行通政大夫) 중화군 지사(中和郡知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탁원광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성군(廣城君) - 이극감(李克堪)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국조보감(國朝寶鑑)》ㆍ《북정록(北征錄)》 등을 편찬함.
1427~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廣成君)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김만기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김철산(金鐵山)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문(金問)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성이씨(廣城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세(光世)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세음(光世音)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광손(光孫) - 탁광손(卓光孫)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둘째 아들로, 선부서(選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수(光壽) - 김광수(金光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명종(明宗) 때의 유학인 김희우(金希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광수(光守) - 탁광수(卓光守)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검상(檢詳)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맏아들로, 역학(易學)에 뛰어났으며, 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역임함.
1463~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수(光洙)@유광수 - 유광수(柳光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청백리(淸白吏) 유심춘(柳尋春)의 생부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광수(光洙)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