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언(光彦)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연(光演)@최광연 - 최광연(崔光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차남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광연(光演) - 이광연(李光演)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냄.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연(廣淵) - 심정원(沈貞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세종(世宗) 때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로,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외사촌.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있던 중에 가벼운 실책으로 영주(寧州)로 귀양 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영(光榮)@김광영 - 김광영(金光榮)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광영(光榮)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광옥(光玉)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왕(光王)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왕(廣王)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우(光佑)@김응귀의아버지 - 김광우(金光佑)@김응귀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를 지낸 김응귀(金應龜)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조선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고려 - 박광우(朴光佑)@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조선전기 - 김광우(金光佑)@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소개로 이이(李珥)의 밑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광우(光友)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광우(光羽)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우(光雨) - 이광우(李光雨)
고려 후기의 문신. 여말~선초 때의 문신인 이거인(李居仁)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운(光運)@김광운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광운(光運)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운(廣運) - 차광운(車廣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버지. 교관(敎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광운(廣韻)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