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우(光羽)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우(光雨) - 이광우(李光雨)
고려 후기의 문신. 여말~선초 때의 문신인 이거인(李居仁)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운(光運)@김광운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광운(光運)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운(廣運) - 차광운(車廣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버지. 교관(敎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광운(廣韻)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광원(光遠)@김광원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광원(光遠)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원(光遠)@조광원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광원(光遠)@표광원 - 표광원(表光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인 표인려(表仁呂)의 아들이며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표을충(表乙忠)의 아버지로, 종부령(宗簿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광원(廣元)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광원(廣原)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원군(光原君)@김극뉴 - 김극뉴(金克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의정(左議政) 김국광(金國光)의 아들로,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냄.
1436~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광원군(光原君)@노영손 - 노영손(盧永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李顆)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光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광원군(光原君)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광원군(廣原君) - 이극돈(李克墩)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훈구파(勳舊派)의 거물로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 - 김익겸(金益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金尙容)ㆍ권순장(權順長)과 함께 자결함.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됨.
1614~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유(光裕) - 손광유(孫光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이웃에 우거하였으며,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무신
-
광유후(光儒侯)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윤(光潤)@최광윤 - 최광윤(崔光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맏아들로, 용인 현령(龍仁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