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익(光益)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익(光翊) - 이광익(李光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를 지낸 이사경(李思敬)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광익(光翼) - 정광익(鄭光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흥덕 현감(興德縣監)을 지냄.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자승우(光子乘羽)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장(廣壯)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광재(光載)@김광재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재(光載) - 임광재(任光載)
조선 예종(睿宗)의 부마.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성종(成宗)이 총애하여 상사(賞賜)와 어찰(御札)을 하루도 빠짐없이 내렸으나, 뒤에 기생 관계의 일로 귀양보내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왕실>인척
-
광저(光儲) - 김광저(金光儲)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광전(光前)@이광전 - 이광전(李光前)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지낸 이도남(李圖南)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요절함.
1517~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광전(光前)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광전(廣殿) - 광한전(廣寒殿)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姮娥)가 산다고 전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광절(光節)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점(狂點)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정(光庭)@1674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광정(光庭)@1552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정(光廷) - 정광정(鄭光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충려(鄭忠礪)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정(光挺) - 박광정(朴光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춘천(春川)으로, 찬성사(贊成事) 박항(朴恒)의 아들. 중국 원(元) 나라 황실에서 숙위(宿衛)하여 소신교위(昭信校尉)ㆍ부만호(副萬戶)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광정(光霆) - 유광정(柳光霆)
조선 후기의 유학.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광정(匡定)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정(匡正)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