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정(匡鼎) - 광형(匡衡)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시경(詩經)》의 해설에 뛰어났음. 평원문학(平原文學)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樂安侯)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제(光霽) - 양돈(楊墩)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1498년(연산군 4)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사표(師表)가 됨.
1461~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문사>문인
-
광조(光祖) - 육광조(陸光祖)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국자 학정(國子學正) 등을 지냈으며,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가 중국에 갔을 때 그와 함께 주자(朱子)와 육상산(陸象山)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한 글이 《월정집(月汀集)》 별집(別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조(光祖)@조광조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조(廣照)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광종(光宗)@안광종 - 안광종(安光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보호하다 같이 해를 입었는데, 이 사실이 알려져 정려(旌閭)가 내려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광종(光宗) - 심광종(沈光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전한(典翰)을 지낸 신의흠(沈義欽)의 아버지로, 창녕 현감(昌寧縣監)ㆍ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좌(光佐) - 박광좌(朴光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냈으며,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좌(匡佐) - 김광좌(金匡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제(金磾)의 아들이며,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아버지.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46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광좌(廣佐)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주(匡州)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광주군(光州君)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주군(廣州君) - 안방걸(安邦傑)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광주안씨(廣州安氏)의 시조. 통일신라 말기에 귀화한 중국 당(唐) 나라 종실(宗室) 출신인 이원(李瑗)의 둘째 아들로, 태조 때 모반(謀叛)을 진압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오르고, 광주군(廣州君)으로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광주김씨(光州金氏) - 광산김씨(光山金氏)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 때 8명의 평장사(平章事), 조선 때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주탁씨(光州卓氏) - 광산탁씨(光山卓氏)
고려 선종(宣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광산군(光山君) 탁지엽(卓之葉)을 시조(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준(光俊)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준(光準)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 - 강욱(姜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장사랑(將仕郞) 강공망(姜公望)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정충기 - 정충기(鄭忠基)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낸 정탁(鄭鐸)의 아버지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이돈 - 이돈(李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참봉(參奉) 이원회(李元晦)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문인으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