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탄(廣灘) - 선정달(宣廷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門人).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광택(光澤) - 김광택(金光澤)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광통무애원묘대지보제(廣通無碍圓妙大智普濟)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광평(廣平)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廣平)@광평대군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평공(廣平公) - 왕순(王恂)
고려 제21대 희종(熙宗)의 손자. 아버지는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로,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과 결혼하였고, 1279년(충렬왕 5) 일본 정벌에 쓸 전함(戰艦)을 감독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광평군(光平君) - 김명윤(金明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극핍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149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평군(廣平君)@이광악 - 이광악(李光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1584년(선조 1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곤양 군수(昆陽郡守)ㆍ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57~16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광평군(廣平君)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평군(廣平君)@이인임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평군공(廣平郡公)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평선생(廣平先生)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성(廣評省) - 상서도성(尙書都省)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상급 관부. 995년(성종 14) 어사도성(御事都省)을 개칭한 것으로, 국가행사의 주관, 공문의 발송 등의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광평왕(廣平王) - 대종(代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762~779. 안사(安史)의 난(亂) 때 공을 세웠으나, 당 나라는 대종 때부터 점차 쇠망의 길로 접어듦.
726~77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평유씨(廣平游氏)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필(光弼) - 박광필(朴光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필(光弼)@정광필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광필(匡弼) - 김광필(金匡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김제(金磾)의 맏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김취정(金就精)의 아버지이자,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백부(伯父).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