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필(廣弼) - 조광필(趙廣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징(趙澄)의 아버지로, 사과(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광한(光漢)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한(光瀚) - 최광한(崔光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셋째 아들로,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박희량(朴希良)ㆍ공상린(孔祥麟)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광한궁(廣寒宮) - 광한전(廣寒殿)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姮娥)가 산다고 전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광한부(廣寒府) - 광한전(廣寒殿)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姮娥)가 산다고 전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광한선자(廣寒仙子)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광한자(廣漢子)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해주(光海主) - 광해군(光海君)
조선의 제15대 왕. 재위 1608~1623.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 대북(大北)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永昌大君) 살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빌미를 제공함.
1575~16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헌(光憲) - 김광헌(金光憲)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의성(義城). 1759년(영조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대학자인 이상정(李象靖)ㆍ이광정(李光靖) 형제와 교유함.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광헌(光軒) - 김광헌(金光軒)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심언광(沈彥光)과 교유하여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애사(哀辭)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광현(光賢) - 진광현(陳光賢)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양(驪陽).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낸 진화(陳澕)의 아버지로,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광형(光亨) - 옥광형(玉光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생원. 본관은 반성(班城). 옥수강(玉守剛)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광혜(光惠)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광호군(廣虎君)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광홍(光弘)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광화(光化)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광효(光孝)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후(光厚) - 김광후(金光厚)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나복산인(蘿葍山人) 김도(金濤)의 아버지로,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광후(光後)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광훈(光勳) - 민광훈(閔光勳)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부윤(府尹) 민기(閔機)의 아들이며, 민정중(閔鼎重)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종묘서 영(宗廟署令)으로 원손(元孫)을 호위하였으며, 그 공으로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가 됨.
1595~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