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훈(光勳)@백광훈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광휴(廣休) - 문립(文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초주(譙周)를 사사(師事)했으며, 촉한(蜀漢) 명신(名臣)들의 자손을 서용(敍用)하자고 군주에게 권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괘산(掛山) - 광성산(廣城山)
평안도 영원(寧遠)에 있는 산. 묘향산(妙香山)의 조종산(祖宗山)으로, 석룡굴(石龍窟)이 유명함.
평안도>영원 , 지명>자연지명
-
괘호정(掛壺亭) - 하정(河瀞)
조선 후기의 학자.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박태무(朴泰茂)의 스승.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학자
-
괴(塊) - 김괴(金塊)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이조 참판 김필(金㻶)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50~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괴국(槐國)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괴남(槐南)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당(槐堂) - 이천계(李天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을 논핵(論覈)하였다가 이기(李芑)의 배척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다시 이기의 무고를 받아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괴로(乖老)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괴리영(槐里令) - 주운(朱雲)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괴리 령(槐里令)을 지낼 때 성제에게 상방검(尙方劍)을 빌어 간신 장우(張禹)를 죽일 것을 간하였다가 죽음을 당함. 난간이 부러지도록 붙잡고 간하였다는 절함(折檻) 고사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괴마(槐馬)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유(景遊)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윤(慶胤)@이경윤 - 이경윤(李慶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맏아들이며, 이중윤(李仲胤)ㆍ이영윤(李英胤)의 형.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에 뛰어남.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
1545~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경윤(慶胤)@이희생 - 이희생(李喜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남명집(南冥集)》에 조식(曺植)이 지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경윤(慶胤)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윤(景尹) - 안경윤(安景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큰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경윤(景潤)@신경윤 - 신경윤(申景潤)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가 차운한 〈차태헌운봉증온진정주인(次苔軒韻奉贈薀眞亭主人)〉이라는 시(詩)가 《월정집(月汀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윤(景潤) - 윤영(尹瑛)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기상(尹起祥)의 아들로, 상의원 직장(尙衣院直長) 등을 지냈으며, 아들 윤명은(尹鳴殷)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57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윤(景胤)@장말손 - 장말손(張末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67년(세조 12)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고, 권율(權慄)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윤(景胤) - 이희백(李希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도시 정(司䆃寺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