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은(景誾)@구사민 - 구사민(具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1578년(선조 11)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현감(縣監)을 지내고,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경은(景誾)@이제민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은(景誾) - 강여개(姜汝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옹원 정(司饔院正) 강윤권(姜允權)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은(耕隱)@전조생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경은(耕隱)@조서강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경은(耕隱)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경음(慶陰)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음당(鯨飮堂)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읍(京邑)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응(慶應) - 안명세(安名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박영(朴英)의 문인. 사관(史官)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전말을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으나, 한지원(韓智源)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
151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경응(慶應)@김희서 - 김희서(金熙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명윤(金明胤)의 맏아들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응(景應)@안명세 - 안명세(安名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박영(朴英)의 문인. 사관(史官)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전말을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으나, 한지원(韓智源)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
151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경응(景應)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의(景儀) - 금경의(琴景儀)
조선 전기의 유학. 금궁조(琴宮操)의 아버지로,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아들 궁조의 자(字)를 청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의(景懿) - 기홍수(奇洪壽)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나, 후에 최충헌(崔忠獻)에게 정권을 양보한 뒤 음악과 글씨를 즐기며 여생을 보냄.
1148~120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경의(景毅)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의(景義)@손경의 - 손경의(孫景義)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의(景義)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의선생(敬義先生) - 동백우(童伯羽)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 《효경연의(孝經衍義)》ㆍ《오경훈해(五經訓解)》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의정정인헌왕후(敬懿貞靖仁獻王后)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