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이(敬而)@기윤헌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경이(敬而) - 노인(盧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진(盧禛)의 종제(從弟)이며, 민인백(閔仁伯)의 외조부. 《하서집(河西集)》에 〈제노경이나암(題盧敬而懶庵)〉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경익(景益) - 김덕겸(金德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김홍(金洪)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를 지냈으나, 1612년(광해군 4) 광해군(光海君)을 비방하는 언서(諺書)로 추국을 당한 후 은거함. 시(詩)로 명성이 높았음.
1552~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경익(景翼) - 민경익(閔景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적성 현감(積城縣監) 민우증(閔友曾)의 아들이며, 민보익(閔輔翼)의 형으로,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인(敬仁) - 기경인(奇敬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첫째 아들로, 1573년(선조 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인(景仁)@안경인 - 안경인(安景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호문(權好文)의 장인으로, 어려서부터 유자(儒者)의 행실이 있었으나, 26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경인(景仁)@서우량 - 서우량(徐友諒)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민성(閔誠)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인(景仁)@이종린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인(景仁)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부백수 - 부백수(傅伯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주자가 자기를 천거해 주지 않자 불만을 품고 비난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윤강원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김춘 - 김춘(金春)@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응상(金應商)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김진 - 김진(金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낸 김순정(金順貞)의 아들이며, 우참찬을 지낸 김수현(金壽賢)의 아버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범진 - 범진(范鎭)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적극 반대하고, 《신당서(新唐書)》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00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김집 - 김집(金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시좌(金時佐)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양산 군수(梁山郡守) 등을 지냄.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仁)@박세영 - 박세영(朴世榮)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선조(宣祖) 때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박대립(朴大立)의 부친.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墓誌銘)과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引) - 김집(金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시좌(金時佐)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양산 군수(梁山郡守) 등을 지냄.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인(景引)@이대유 - 이대위(李大▼(由/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냈으나,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주력함. 남원(南原)의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540~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인(景禋) - 신경인(申景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성군(東城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겸 포도대장(捕盜大將)을 거쳐 어영대장(御營大將)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
1590~16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인지난(庚寅之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