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인지란(庚寅之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경일(敬一)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일(景一) - 정유성(鄭惟誠)@1539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우참찬(右參贊) 정엽(鄭曄)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추증됨.
1539~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일(景一)@이질순 - 이질순(李質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경일장(經一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경임(景任)@유몽정 - 유몽정(柳夢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량(柳用良)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여 일을 성사시켰으며, 귀국 도중 병사함.
1527~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임(景任)@정경세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임(景任)@이보 - 이보(李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1545~1608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임(景任)@이진 - 이진(李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군량을 운반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임(景任) - 조희윤(趙希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낸 조숭조(趙崇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임(景任)@윤성은 - 윤성은(尹成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내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자(敬子)@임방 - 임방(任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때에 황문 시랑(黃門侍郞)과 신안 태수(新安 太守) 등을 지냈으며,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460~50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자(敬子)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자관군(卿子冠軍) - 송의(宋義)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장군. 초(楚) 회왕(懷王)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으나 항우(項羽)에게 살해당하고 멸족(滅族)까지 당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장(慶長) - 변경장(邊慶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남원 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 변영청(邊永淸)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경장(敬長)@정세창의사위 - 이경장(李敬長)@정세창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장연 현감(長淵縣監)을 지낸 정세창(鄭世昌)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장(敬長)@이혼의아들 - 이경장(李敬長)@이혼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혼(李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2~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장(敬長) - 노경장(盧敬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돈녕판관(敦寧判官) 노희선(盧熙善)의 아들이고,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증조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냈으며,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장(景章)@박경장 - 박경장(朴景章)
조선 전기의 유학.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장(景章) - 강숙경(姜叔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강맹경(姜孟卿)의 동생.
1428~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