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장역(慶長役)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경장정유역(慶長丁酉役)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경재(敬齋)@남수문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홍붕 - 홍붕(洪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주부(主簿)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전한 - 전한(全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낸 전은로(全銀輅)의 손자.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사옹원 정(司饔院正)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정복현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경재(敬齋)@이해수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이기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설공검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호거인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재(敬齋)@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홍인우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경재(敬齋)@유실 - 유실(劉實)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송원통감강목(宋元通鑒綱目)》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知南雄府) 등을 역임하였으나,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
1396~146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곽곤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경재(絅齋)@이굉조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재(絅齋)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재(警齋)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경재선생(敬齋先生)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재선생유고(敬齋先生遺稿) - 경재유고(敬齋遺稿)@남수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수문(南秀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후손 남희석(南熙錫)과 남국환(南國煥)이 집에 보관하고 있던 시문(詩文)과 채록한 시문을 편집하여, 1804년(순조 4)에 활자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