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재집(敬齋集) - 경재유고(敬齋遺稿)@남수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수문(南秀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후손 남희석(南熙錫)과 남국환(南國煥)이 집에 보관하고 있던 시문(詩文)과 채록한 시문을 편집하여, 1804년(순조 4)에 활자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전(慶傳)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경전(慶全)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경전통해(經傳通解)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전통해속(經傳通解續)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절(敬節)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채준 - 채준(蔡撙)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장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지낸 채흥종(蔡興宗)의 아들. 오승백(吳承伯)의 난을 평정하여 신무장군(信武將軍)에 봉해지고, 시중(侍中)을 지냄.
467~5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이경절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경정(慶正)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정(敬亭) - 이민성(李民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1597년(선조 3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냄. 저서로 《경정집(敬亭集)》이 있음.
1570~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경정(敬靖)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정(景定)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景正)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경정(景靖)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景靜)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경정궁주(慶貞宮主) - 경정공주(慶貞公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소생으로,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인 조대림(趙大臨)과 혼인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정렬(慶貞烈)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선생집(敬亭先生集) - 경정집(敬亭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민성(李民宬)의 문집. 13권 4책. 목판본. 이민성의 동생인 이민환(李民寏)이 수집ㆍ정리한 것을, 아들인 서흥 부사(瑞興府使) 이정기(李廷機)가 간행함.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음.
166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서흥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