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제(敬悌) - 김경제(金敬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진사(進士) 김준(金濬)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제(景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제(景帝)@경종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제원육전(經濟元六典)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조(京兆)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조(敬祖)@고경조 - 고경조(高敬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해미 현감(海美縣監)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조(敬祖)@정경조 - 정경조(鄭敬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경조(敬祖) - 하소(何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증(何曾)의 아들로, 젊은 시절 훗날 무제(武帝)가 된 사마염(司馬炎)과 친하게 지냈으며, 진 나라 개국 후 태자태사(太子太師) 등을 지냄. 박학(博學)하고 속문(屬文)을 잘하였으나 매우 교만하고 사치를 부림.
?~3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조회도(京兆會圖) - 경조계회도(京兆契會圖)
조선 선조(宣祖) 21년에 전ㆍ후임(前後任)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들의 계(契) 모임을 그린 그림. 윤근수(尹根壽)가 발문(跋文)을 지음.
15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경종(慶宗) - 이경종(李慶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주(李澍)의 아버지로, 여산 군수(礪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종(敬宗)@허경종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종(敬宗)@순제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주(擎柱) - 이경주(李擎柱)
조선 전기의 문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경주(景舟) - 홍경주(洪景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후궁인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과 이과(李顆)의 난 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 세력을 제거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주(景霌)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경주군(慶州君)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경주나정(慶州蘿井) - 나정(蘿井)
경상북도 경주(慶州) 금오산(金鰲山) 기슭에 있는 우물. 진한(辰韓)의 촌장이 나정(蘿井) 곁에서 큰 알을 얻었는데 그 알에서 나온 아이가 박혁거세가 되었다는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곳.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기타유적
-
경주설씨(慶州薛氏)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