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중(景中) - 황정식(黃廷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들로, 우부승지(右副承旨)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529~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중(景仲) - 양신용(梁信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증손.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의 전공(戰功)으로 인동 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에 제수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경중(景重) - 박경중(朴景重)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증(慶曾) - 왕차옹(王次翁)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진회(秦檜)와 결탁하여 금군(金軍)과의 화친을 강력히 주장하고, 한세충(韓世忠)ㆍ장준(張浚)ㆍ악비(岳飛) 등을 모함하여 탄핵함. 저서에 《양하집(兩河集)》이 있음.
1079~114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증(景曾)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경지(慶之)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慶之)@심경지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지(慶之)@오경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지(敬之)@양경지 - 양경지(楊敬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검교 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등을 지내고, 두 아들 양융(楊戎)ㆍ양대(楊戴)와 함께 문명(文名)을 떨침. 일찍이 〈화산부(華山賦)〉를 지어 한유(韓愈)ㆍ이덕유(李德裕) 등으로부터 칭탄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장현보 - 장현보(張顯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지(敬之)@양여공 - 양여공(梁汝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1431년(세종 13) 유연생(柳衍生)의 무고(誣告)로 사형됨.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소세검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심순문 - 심순문(沈順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성품이 강직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자주 직언하였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참수됨. 중종 때 복관(復官)됨.
1465~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이인견 - 이인견(李仁堅)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中宗) 때의 원종공신(原從功臣) 이운(李耘)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이흠 - 이흠(李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현보(李賢輔)의 아버지로, 인제 현감(麟蹄縣監) 등을 지냄.
1440~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황효공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허관 - 허관(許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허성(許誠)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禮院判決事)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김구용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志) - 탁경지(卓敬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지(卓智)의 둘째 아들로,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삼가 현령(三嘉縣令) 등을 지내고, 이극균(李克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