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진(景震)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경진재(景進齋)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질(敬質) - 김지경(金之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중종(中宗)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19~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남수문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이희검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징군(慶徵君)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차관(敬差官)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경참(景參) - 김로(金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金希壽)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음.
149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안경창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경창(慶昌)@남경창 - 남경창(南慶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유학 남초(南怊)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문사>유학
-
경창(慶昌)@최경창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홍경창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 - 전경창(全慶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전순(田珣)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었으며, 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됨.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경창(景昌) - 현경창(玄景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현적(玄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경창대군(慶昌大君) - 왕유(王瑜)
고려 후기의 종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 《목은고(牧隱藁)》의 〈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136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경천(慶千) - 서경천(徐慶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역임함.
1505~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경천(擎天) - 백우경(白宇經)
신라 선덕왕(善德王) 때의 귀화인. 당(唐) 나라 소주(蘇州) 사람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고 신라로 망명함. 수원백씨(水原白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경천(景倩) - 원찬(袁粲)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송 왕조에서 주요 관직을 거치다가 제(齊) 왕조가 들어서자 한 몸으로 다른 성의 군주를 섬길 수 없다 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임을 당함.
419~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천(鏡川)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