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추(景樞)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경추(景秋)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경춘(慶春) - 남경춘(南慶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맹하(藍孟夏)의 아버지로, 통례(通禮)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춘(景春) - 박인을(朴仁乙)
고려 후기의 문신. 지간성군사(知杆城郡事)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문신
-
경춘헌(景春軒) - 박인년(朴引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냈으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충(敬忠)@함경충 - 함경충(咸敬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 그에게 청하여 자(字)를 지어 받았음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경충(敬忠) - 양경충(楊敬忠)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 하서 절도사(河西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선악(仙樂)인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을 지어 바쳤다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충(景忠)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충(鏡忠) - 이경충(李鏡忠)
조선 후기의 종친.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침(景琛) - 한경침(韓景琛)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손자이며, 한보(韓堡)의 아들로, 성종의 세 번째 서녀(庶女)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청녕위(淸寧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태(景泰)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태제(景泰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택(景擇)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통(敬通) - 풍연(馮衍)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무신. 신(新) 나라 왕망(王莽) 때 산동(山東) 정벌에 나선 염단(廉丹)에게 왕망을 버리고 한(漢)을 부흥시킬 것을 제의하였으나 실패함. 망명하여 광무제(光武帝)에게 귀의하였으며, 사례종사(司隸從事) 등을 역임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퇴보(慶退父)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퇴재(景退齋)@이천상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경퇴재(景退齋)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파(景坡) - 소사식(蘇斯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소우석(蘇禹錫)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온성 판관(穩城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패(景伂)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평(敬平)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