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천흥(慶千興)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첨(敬瞻)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청(景淸)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권욱 - 권욱(權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감을 지낸 권심언(權審言)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과 함께 《심경(心經)》을 강론함.
1556~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손방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경초(景初)@부백성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추(景樞)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경추(景秋)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경춘(慶春) - 남경춘(南慶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맹하(藍孟夏)의 아버지로, 통례(通禮)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춘(景春) - 박인을(朴仁乙)
고려 후기의 문신. 지간성군사(知杆城郡事)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문신
-
경춘헌(景春軒) - 박인년(朴引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냈으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충(敬忠)@함경충 - 함경충(咸敬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 그에게 청하여 자(字)를 지어 받았음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경충(敬忠) - 양경충(楊敬忠)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 하서 절도사(河西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선악(仙樂)인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을 지어 바쳤다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충(景忠)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충(鏡忠) - 이경충(李鏡忠)
조선 후기의 종친.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침(景琛) - 한경침(韓景琛)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손자이며, 한보(韓堡)의 아들로, 성종의 세 번째 서녀(庶女)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청녕위(淸寧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태(景泰)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태제(景泰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택(景擇)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