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헌(敬軒)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김경헌 - 김경헌(金景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한 김광운(金光運)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이경헌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헌(景憲)@반경헌 - 반경헌(潘景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유(潘景愈)의 형으로, 태평교수(太平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여조겸(呂祖謙)과 교유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헌(景獻)@이관 - 이관(李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윤실(李允實)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獻)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경헌공일기(景獻公日記) - 수옹일기(睡翁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송갑조(宋甲祚)가 쓴 일기. 1624년(인조 2)부터 1628년(인조 6)까지의 내란ㆍ외침 등 중요한 변란이 수록됨. 1800년(정조 24)에 5대손 송구상(宋龜相)이 2권 2책으로 편집하고 송환학(宋煥學)이 개간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현(勁弦)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현(景玄) - 주방(周昉)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궁정인물화 특히 사녀화(仕女畵)에 능했는데 우아하게 차려입고 한가하게 놀이를 즐기는 여인들의 풍만한 모습을 즐겨 그렸으며, 선주 자사(宣州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현(景見)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현(景顯) - 이석명(李碩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민선(李敏善)의 아버지. 정유길(鄭惟吉)ㆍ박순(朴淳)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하였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현단(景賢壇) - 미원서원(迷源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근(楊根)에 건립한 서원.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김육(金堉)ㆍ남언경(南彦經)ㆍ이제신(李濟臣)ㆍ김창흡(金昌翕) 등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加平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보유(景賢補遺) - 경현록(景賢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김하석(金夏錫)이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글을 모아 엮은 책. 6권 3책. 도동서원(道東書院)에서 간행함.
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경현사(景賢祠)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원(景賢院)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혜(敬惠) - 효현왕후(孝顯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김조근(金祖根)의 딸로,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景陵)에 안치됨.
1828~18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혜(敬惠)@인빈김씨 - 인빈김씨(仁嬪金氏)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본관은 수원(水原). 후궁 가운데 가장 왕의 총애를 받아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 등 4남 5녀를 둠.
1555~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경혜(景惠)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경혜(景惠)@권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