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현보유(景賢補遺) - 경현록(景賢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김하석(金夏錫)이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글을 모아 엮은 책. 6권 3책. 도동서원(道東書院)에서 간행함.
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경현사(景賢祠)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원(景賢院)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혜(敬惠) - 효현왕후(孝顯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김조근(金祖根)의 딸로,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景陵)에 안치됨.
1828~18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혜(敬惠)@인빈김씨 - 인빈김씨(仁嬪金氏)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본관은 수원(水原). 후궁 가운데 가장 왕의 총애를 받아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 등 4남 5녀를 둠.
1555~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경혜(景惠)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경혜(景惠)@권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호(慶鎬) - 탁경호(卓慶鎬)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정화(卓挺華)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경호(景浩)@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호(景浩) - 심수원(沈粹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이며, 감찰(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버지. 부사용(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경호(景虎)@문경호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경호(景虎)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경포호 - 경포호(鏡浦湖)
강원도 강릉 저동(苧洞)에 있는 호수.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로도 불리며, 예로부터 네 개의 달이 뜬다는 말이 전함.
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경호(鏡湖)@경포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호(鏡湖)@심장원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호당(鏡湖堂)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혼(景混)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홍(景弘) - 최경홍(崔景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찬성(贊成) 최숙생(崔淑生)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홍(景洪)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