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호(慶鎬) - 탁경호(卓慶鎬)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정화(卓挺華)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경호(景浩)@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호(景浩) - 심수원(沈粹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이며, 감찰(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버지. 부사용(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경호(景虎)@문경호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경호(景虎)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경포호 - 경포호(鏡浦湖)
강원도 강릉 저동(苧洞)에 있는 호수.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로도 불리며, 예로부터 네 개의 달이 뜬다는 말이 전함.
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경호(鏡湖)@경포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호(鏡湖)@심장원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호당(鏡湖堂)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혼(景混)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홍(景弘) - 최경홍(崔景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찬성(贊成) 최숙생(崔淑生)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홍(景洪)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화(景和)@금응석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경화(景和) - 김덕함(金德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홍(金洪)의 아들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직되어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경황제(敬皇帝)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도종 - 도종(度宗)
중국 송(宋)의 제15대 황제. 재위 1264~1274. 이종(理宗)의 조카며 복왕(福王)의 아들로 재임 중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이 권력을 잡았음
1240~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경제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회(慶會)@최경회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